안녕하세요!이번달은 정말 입학 등 여러 일들로 많은 분들이 중요했던 달인 것 같은데요!다들 좋은 일들만 있기를 바랍니다이번달에도 역시 독서평설을 가지고 왔습니다독서평설 표지입니다고입, 대입 준비하는 달이다보니 내용에 역시 자소서 면접 논술 이런것들이 들어있네요 저는 딱 책을 펼쳤을 때 영화 <너의 이름은> 이 제일 먼저 보였습니다많은 청소년분들도 이걸 처음에 보셨을 거 같은데요그 외에도 흥미 가는 내용들이 많네요고교 독서평설의 자문의원 선생님들이랍니다!정말 감사한 분들이죠이렇게 실제 선생님들이 도와주셔서 학생들이 읽기 더 편한 것 같네요 ㅎㅎ줌 인 세상에서는 이번달에 이슈였던 조류 인플루엔자를 다루고 있네요고양이가 조류독감에 걸리면서 많은 분들이 불안하셨을겁니다이번에 독서평설에서 소개해주는 책은 손낙구님의 "10대와 통하는 땅과 집 이야기" 라는데요이런건 다 부모님들께서 알아서 해주시니 많은 청소년분들은 이런것에 관심이 없었을텐데 현재의 부동산이 사회의 골칫덩이인 만큼 청소년분들도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할 것 같습니다부동산에 대한 문학 쌤의 생각이십니다문학쌤이니만큼 역시 문학작품으로 현실과 비교를 하셨는데요땅과 집을 향한 사람들의 욕망과 갈등은 책속에서만 일어나는 일들이 아니라는걸 설명해 주시네요역사쌤은 서울의 가치를 인정받게 된 것을 역사속에서 찾으셨는데요문종때 지금의 서울이 삼경 중 하나인 남경이었다고 하네요그때는 서울이 별로 중요하지 않은 곳이었다고 합니다사회쌤은 역시 인권과 주거권에 초점을 맞추셨네요!철학쌤은 땅값이 비싸 집을 갖지 못한 사람이 많고, 그로인해 지역의 지도자를 뽑는 선거에 사람들의 관심이 줄어든다고 설명하시고 계십니다경제가 발전한다고 해서 빈곤이 사라지지 않는 이유, 가장 큰 이유는 사람들의 돈에 대한 욕심때문 같습니다 부동산 가격이 내려간다면 물가도 점점 내려가고 많은 사람들이 살기 편해질텐데요...올 해 핫했었죠, 신카이 마코토님이 감독이신 <너의 이름은>무려 1500만 관객을 동원했다고 하네요이 영화를 모르는 분들은 설마 없겠죠?다음은 크리켓이라는 스포츠에 대한 얘기인데요2014년 인천 아시안 게임에서 B조 조별 리그를 치르던 쿠웨이트와 몰디브는 오전 9시 30분에 경기를 시작할 예정이었지만 전날부터 오던 비가 그치지 않아 결국 경기를 하지 못했고, 심판은 주머니에서 동전을 꺼내며 동전 던지기로 승부를 가르겠다고 합니다쿠웨이트 선수들이 선택했던 앞면이 나왔고, 몰디브 선수들은 4년간 피땀 흘려 아시안 게임을 준비했지만 경기 한번 해 보지 못하고 패배라는 슬픈 결과를 받게 되었습니다동전던지기로 승패를 정하는게 너무하다고요?다른 스포츠에서도 이와 같은 승패 결정 방법을 사용 했었습니다예를 들어 국제축구연맹 피파 규정에서 보면 골 득실, 득점수가 모두 같을 경우 동전던지기로 승패를 정한다고 합니다.이번엔 좀 철학적인 내용입니다함무라비 법전에서는 눈에는 눈 이에는 이 라는 구절이 있죠죗값을 제대로 치르게 하려면 잘못한 자에게 꼭 그만큼의 코통을 느끼게 하는 것이것은 최고의 생존 전략이지만 결코 옳은 것은 아닙니다살해된 사람의 유적이 살인자를 잡아 죽였다고 해도 죽은 사람이 살아 돌아오지는 않습니다오히려 사라진 생명이 하나 더 늘었을 뿐이죠여기서는 상처를 되돌리는 방식으로 복수해서는 결코 정의를 세울 수 없다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쉬어가는 느낌으로 시 한편이 있는데요이정록 님의 의자입니다이 시에서는 간(間)은 어느 것에서 다른 어느것까지의 사이를 말하니 인간이 되려면 역시 두 사람이 필요하다, 인간관계의 처음은 부모와 자식이다 서로 기대어 살아간다인간관계를 의자에 비유해 이 시를 쓰셨습니다마음에 정말 와닿는 내용이네요...다음으로 부록 워크시트인데요내용에는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논란, 만취해 기내 난동 일으킨 30대 남성 구속, 선거연령 만 18세 하향 등의 한번씩은 뉴스에서 들어봤던 내용들이 있습니다 뉴스를 보지 않아도 한 달의 중요한 내용들을 쉽게 이해할 수 있어서 독서평설은 참 좋은 것 같네요이제 곧 3월입니다방학동안 의미 있는 일들을 하며 보내셨는지요지나간 시간은 다시 돌아오지 않는다는 사실을 명심하시고 더욱더 의미있는 시간 보내셨으면 좋겠습니다! 본 포스팅은 교재를 제공받아 작성되었습니다.
특집
10 한 학기 한 권 책 읽기 | 공규택·김태훈·윤용아·안광복
청소년이 부동산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까닭은 뭘까?
- 손낙구 10대와 통하는 땅과 집 이야기
진로 - 꿈을 밝히는 등대
20 학과 탐방 | 서동조
서울교육대학교
30 직업 | 김나연
행복한 배움의 터전을 가꿔 나가는 초등학교 교사
- 서울 자곡초등학교 교사 정호연
32 내 꿈을 이루는 진로 독서
인문대학 | 박균호
정상교 도쿄대학 불교학과
사회과학대학 | 박현희
김태형 심리학을 만든 사람들
경영·경제대학 | 석혜원
막스 베버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자연과학·의과대학 | 이수종
김상욱 김상욱의 과학 공부
공과대학 | 최원석
홍성욱 홍성욱의 STS, 과학을 경청하다
독서 활동 | 박정준
진로 유형별 독서 전략 세우기
지식 - 생각을 채우는 샘
-------------------교양-------------------
50 여행 | 백상현
순수 자연의 땅, 루마니아 델타 두너리를 느끼다
58 영화 | 이화정
기억하라! 재난 속에서도 꺼지지 않는 희망의 이름
- 〈너의 이름은.〉
64 스포츠×인문학 | 공규택
승부를 ‘실력’이 아닌 ‘운’에 맡기다
- ‘제비뽑기’의 다양한 쓰임새와 사회적 의미
-------------------사회-------------------
70 철학 | 안광복
우리에게 복수할 권리가 있는가?
78 한국사 | 강응천
명문가 규수 vs. 역관의 딸
- 조선 후기 붕당 정치의 파탄
86 키워드 | 박민영
정당 정치
- 민심 왜곡을 막는 제도적 장치들
96 경제 | 이완배
성과 연봉제는 과연 성과를 높일 수 있을까?
- 댄 애리얼리의 반도체 공장 실험
-------------------과학-------------------
104 위험한 생각들 | 강양구
인간도 업그레이드가 가능할까?
112 세상을 바꾼 기술 | 김명진
인쇄술 혁명, 그 두 번째 이야기
- 구텐베르크 인쇄술은 유럽의 지식 활동을 어떻게 바꿨을까?
문학 - 말글로 바라보는 세상
120 시 | 김권섭
‘의자’ 같았던 사람
126 옛 소설 | 박진형
여인, 세상을 향해 당당히 외치다 - 박씨전
132 현대 소설 | 오혜진 평설
김승옥 「건」
입시 - 대학으로 가는 지름길
150 대입 정보 (1) | 박원규
2018 영어 절대 평가가 현장에 던지는 메시지
154 대입 정보 (2) | 이상훈
DIY 학교생활 기록부
158 자소서·면접 | 김두산
자소서 준비 Step 2. 활동별 소재 분석
164 자연계 논술 | 이근영
2016학년도 중앙대학교 수시 논술 고사(화학)
172 인문계 논술 | 장욱민
2016학년도 이화여자대학교 수시 논술 고사(인문 I)
별책 부록
이슈 & 독토론 워크시트(이달의 이슈+독토론 워크시트)
이달의 이슈
HOT 이슈
보건 분야 | 역대 최악의 조류 인플루엔자 발생
문화 분야 |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논란
사회 분야 | 만취해 기내 난동 일으킨 30대 남성 구속
정치 분야 | 선거 연령, 만 18세로 하향되나
이슈 단신 | 가임기 여성 출산 지도 논란 / 프랑스, 사망 후 자동 장기 기증 / 아마존, 상업적 드론 배송 성공
독토론 워크시트
한 학기 한 권 책 읽기
청소년이 부동산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까닭은 뭘까?
- 손낙구 10대와 통하는 땅과 집 이야기
키워드로 보는 세상
정당 정치
- 민심 왜곡을 막는 제도적 장치들
옛 소설, 마음에 쓰는 편지
박씨전
소설과 삶
김승옥 「건」